참뜻을 펼치다 산화한 내 아들아.
편히 잠들 거라.
- 안장장소 :국립5·18민주묘지
- 묘역구분 :2묘역
- 묘역번호 :2-20
- 성 명 :이성귀
- 출생년도 :1964-03-11
- 사망일자 :1980-05-24
- 이장일자 :1997-05-13
- 직 업 :고등학생(광주상고 2학년)
- 사망장소 :도청 앞
- 사망원인 :총상(두개골 관통 총상)
- 내 용 :-시리도록 푸른 젊음이 스러지고
광주상업고등학교에 다니며 시골 동네 친구와 형과 광주 산수동에서 자취 하던 이성귀 씨는 차분하고 밝은 성격으로 친구들과 친하게 지냈다. 게다가 공부도 잘해서 반에서 부반장을 맡으며 즐거운 학교생활을 보내고 있었다. 그러다 광주 항쟁이 발생했고, 학교가 휴교했다. 그렇지만 고등학교 2학년이나 돼서 공부를 게을리할 수 없었던 이성귀 씨는 21일, 함께 살던 친구들과 도서관으로 향했다. 도청을 지나 학생회관 도서관으로 가던 중, 갑자기 총성이 울렸고 이성귀 씨는 도망치지 못해 머리를 총에 맞았다.
놀라 도망쳤던 이성귀 씨의 친구들은 집에서 그가 돌아오길 기다렸으나 오지 않았다. 23일에 함께 지내던 선배의 부모님이 아들이 걱정된다며 데리러 오셨고, 영암으로 돌아간 선배가 이성귀 씨의 소식을 아버지 이상민 씨에게 전했다. 이상민 씨는 이성귀 할아버지의 제사 지낼 준비를 해야 해서 어쩔 수 없이 그의 아내이자, 이성귀 씨의 어머니를 택시에 태워 광주로 올려보냈다. 그러나 택시는 서창 입구에서 바리케이드를 치고 출입을 제지하는 공수부대 때문에 멈춰서야 했고, 어머니는 광주까지 걸어갔다. 걸어가던 중 도청에 시체들이 있다는 소식을 듣고, 도청으로 바로 가봤더니 그곳에 아들 이성귀 씨가 있었다. 26일, 이성귀 씨의 아버지와 숙부가 광주로 올라왔지만, 계엄군이 다시 광주로 온다는 소식 때문에 시신을 수습조차 하지 못하고 다시 영암으로 내려야가야 했다. 그리고 27일, 아들을 찾아 도청으로 갔다가 29일 망월동에 이성귀 씨를 묻었다. 이성귀 씨의 죽음으로 마음의 병을 얻어 시름시름 앓던 어머니는 1년의 투병 끝에 숨을 거뒀다. 그녀의 유언에 따라 이성귀 씨는 나주에 있는 선산에 어미니와 함께 묻혔다가, 후에 신묘역으로 이장 됐다. 아버지 이상민 씨는 남은 자식들을 위해, 어머니의 역할과 아버지의 역할을 감당하려고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증언자 : 이상민)
"증언자의 증언을 토대로 요약한 내용입니다. 실제 사건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도서 : "그해 오월 나는 살고 싶었다", 5·18민주유공자유족회 구술)